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반인들은 프린터를 어느정도까지 활용할수 있을까? 문서를 많이 뽑는 가정집이나 회사들에는 칼라프린터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토너를 사용하는 칼라프린터들은 일정매수를 인쇄하면 소모품으로 분류된 드럼이나 전사벨트를 교환하라는 메세지들을 볼수가 있다.

이러한 부품들은 모두교체하려면 웬만해서 프린터본체가격과 비슷할정도의 비용이들게되는데,

잉크프린터들이 잉크를 충전해서 몇번은 다시 사용할수있는것처럼 드럼이나 전사벨트도 초기화해서 사용할수가있다.

드럼의 초기화방법은 프린터상의 버튼기능상으로 쉽게 초기화할수있고 그러한 방법들에대한 글은 많이 존재한다.그러나 특별한 장비나 도구들이없는 평범한 일반인들이 활용할수있는 전사벨트의 초기화에대한 내용이나 글은 아무리 찾아봐도 한글로 쓰여진 문서는 없었기에,

구글의 검색을 활용하여 영어문서를 검색해봤더니,전사벨트를 초기화하는 방법에대한 글이 존재하고 있었다.영어로된 원문을 가지고 실제로 가능한지,가능하다면 어떤점을 더 추가되어야하는지,일반인들이 할수있는지,한글로된 해설서는 왜없는지 등등으로인하여,혹시나 칼라레이져프린터의 드럼이나 전사벨트의 비싼가격때문에 재활용할수 없을까?라는 생각을 해보는 이들에게 필요할가하여 몸소(?) 실행해본다.

clp-510 전사벨트의 초기화에대한 영어원문글은 "sad samsung"라는 글인데 전사벨트를 초기화해서 재활용하려는 사람은 우선적으로 이글을 찾아서 링크된 초기화 프로그램인 "ssebr"를 다운로드받고,세부적인것은 모르더라도 전체적인 개념을 파악해야한다.

세부적인것에서 의문점이나 막혔을때 이글을 부가하여 보면 정확하게 활용할수있을것이다.일반인도 칼라프린터의 전사벨트를 초기화하여 인쇄만 잘된다면 충전하여 사용하는 잉크카트리지처럼 재활용하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사벨트는 위에그림처럼 생겼는데 선들이 배열된 부분중에서 좌측에서부터1번-7번까지 선이 존재한다.여기서 활용해야할 선은 1번부터-4번까지의 선을 활용해야한다.전사벨트의 선은 중간에 짤라서 아래의 그림처럼공유기케이블과 연결하는것이 장비가 필요없기에 쉽지만,나중에 다시 연결할때 선이 짧아질수있기에,여러번 재활용할거면 선을 중간에 짜르지않고 선을 모아놓은 툴에 그냥들어갈수 있도록,

컴퓨터의 메인보드에 파워LED나 파워버튼등을 꼽아넣는 뾰족한것들이 쏫아있는것을 짤라서 4가닥선 각각 앞부분에 납땜하여 찔러넣으면 된다.이때에 어떠한 선을 사용하는것이 좋은가하면,버려진 컴퓨터들에보면 컴퓨터메인보드에 단자와 컴퓨터앞면 USB단자를 연결하는 선이있는데 이러한 선을 활용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사벨트의 좌측으로부터 1-3번선은 위에 그림처럼 컴퓨터의 구형 프린터포트인 LPT포트와 연결되어야하는데 이때에 사용하는 케이블은 케이블의 앞과끝이 똑같은 모양인  25핀 공유기케이블을 활용한다.공유기케이블의 16,17번을 전사벨트의 좌측1번,2번선으로 차례대로 연결하고,전사벨트의 3번선은 공유기케이블의 24번에 연결하면 위에 그림처럼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전사벨트의 4번선은 어느곳에 연결하는가 궁금해야 정확하게 따라하고있는 것이다.전사벨트의 4번선은 전사벨트에 전기를보내주는 역할을하는데 5V의 전압을 사용한다.1,2,3번선과는 별도로 4번선은 5V의 전원을 공급해줄수있는 곳에 연결해야하는데,이러한 역할을 할수있는곳이 컴퓨터 내부에 USB포트이다.

USB포트는 4가닥 선으로 VCC,D,D,G가 하나의 조합이되어 하나의 USB단자를 작동하게한다.여기서 약자들이 무슨의미인가는 중요하지 않겠고 VCC라는 부분을 활용하면된다.유에스비의 VCC의 한가닥 선은 5V의 전압을 공급하기에 이곳에 전사벨트의 4번선을 연결한다.연결이 다되면 "SSEBR"를 실행하면 위에그림처럼 성공화면이 실행되게된다.드럼과 전사벨트등은 1-2번만 재활용해서 사용해도 새프린터본체를 다시 살수있는 비용을 절약할수있는 경제적 효과가 발생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좋은프린터를 구입하기위해서는 어떤점에대하여 생각해봐야하는지에대한 글이다.잉크를 사용하는 잉크젯프린터이든,토너를사용하는 레이져프린터이든,요즘에나오는 프린터들은 인쇄품질에서있어서는 별차이가없기에,중요한것은 프린터의 유지비측면이라구볼수있다.


잉크젯프린터는 본체비용은 싸지만,칼라,흑백잉크 1-2개만사서사용하면,이미 본체가격을 뛰어넘게된다.레이저프린터는 초기비용이 좀더들어가더라두,잉크젯이 500매인쇄라면,보통 4배정도많이 인쇄할수있는 2,000매정도를 인쇄할수있는 장점이있다.





그러나 레이져프린터인경우는 흑백전용이라면,토너만교체해서 사용해주면되기에,잉크젯에비하여 유지비가 저렴할수있지만 칼라레이져라면 예상외의 소모품들이들어간다.유지비측면에서,잉크젯프린터보다 더들어가면
더들었갔지,적게들어가지않는다.




일반가정에서는 흑백전용레이져프린터가 아닌경우는,구지 칼라레이져프린터를 사용할게아니라
잉크젯프린터를 사용하는것이 이득이다.회사나 사무실인경우는,많은 인쇄를하구,속도나 컴퓨터간의 네트워크공유측면에서두,컬러레이져 프린터를 사용하는것이좋지만,일반가정에서 유지비측면에서 컬러레이져프린터가 좋다구 절대볼수가없기에 유지비측면에서 컬러레이져프린터를 고려하는것은 좋지않다.




잉크젯은 칼라든,검정이든 잉크만갈아주면,특별히 들어가는 소모품이없지만,칼라레이져프린터는
잉크를 대신하는 토너뿐만아니라,페토너통,드럼(이미징유니트) 부가적 소모품을 더구입해야한다.
드럼은 레이져프린터본체의 가격과맞먹구,페토너통두,토너2개를 갈아줄때,1번정도는 교환해줘야
하기에,장당인쇄비용이, 잉크젯프린터보다 싸다구볼수가없다.




제일좋은것은 칼라레이져프린터라구해두,폐토너통이나 드럼등이 토너와일체형으로 사용되는
모델을 구입하는것이좋겠고
,또한 사용되어지는 프린터모델들이 재생토너사용가능한지를 살펴봐야한다.




가정에서 사용하는경우,칼라레이져프린터는 무상a/s기간인 1년정도는 정품토너를 사용한다구해두,무상a/s기간이끝나는경우,구지 토너제품을쓰는 레이져프린터는 정품토너를 사용할필요성이없다.프린터는본체가격이 중요한게아니라,프린터유지비가 더크기때문에,무상기간이 끝나면,재생토너를사용하나,정품토너를 사용하나,프린터본체에서 얻을수있는 혜택이 전혀없기에,유지비측면에서 도움이될수있는 재생토너를 사용하는것이 더좋다구 볼수있다.



회사나 모델별루,토너를 사용하는 레이져프린터라구할지라두,재생토너를 사용하지못하게 만들어진 모델들이있기에,컬러레이져프린터를 살때는 재생토너를 사용할수도있는 모델인지를 고려해보는것이좋다.



칼라레이져프린터인경우,페토너통,드럼등이 토너와 분리형으로 소모품으로 구입해야하는 모델인경우는,페토너통같은경우는가격이 1만원미만이기에,페토너통이 기능이다되면,전체적인 인쇄가불가능하기에,예비적으로페토너통같은 소모품은 1-2개를 미리사두고 비치해두는것이좋다.



전체적으로 보면 가정에서는 잉크젯프린터를 사용하는것이 더현명하구,레이져프린터를 사용하려는
경우,흑백전용레이져프린터를 사용하는것이 더낫구,구지.칼라레이져프린터를 사용하려는경우는,본체가격을
좀더주더라두,복사나 스캔이가능한 칼라레이져프린터를 구입하는것이좋구,사용되어지는 토너가 재생가능
인 토너를
사용하는모델을 구입하는것이좋다.


부가적 컴퓨터팁정보
컴퓨터를 사용하는경우,어떤파일을 받으려구할경우,다운로드창이 잠깐나타났다가,사라져버리는경우나,다운로드저장위치창이 나타나지않는경우는에 대한 해결책은,연결프로그램이 필요한 다운로드창이 사라질경우는
기존의 연결프로그램(한글이나,기타 소프트웨어프로그램들)을 삭제한후,재설치를해주면 해결이된다.


다운로드저장위치창이 나타나지않구 사라져버려서,어디에저장되구있는지 알수없는경우는,도구-인터넷옵션-보안-사용자지정수준-다운로드-파일다운로드에대한 자동확인에서 사용안함에체크해준후,확인해준다.


다운로드파일이 열기나 저장이라는 선택창이 안나타나구,자동으로 열기가되어버리는경우는,바탕화면에
내컴퓨터아이콘을 연후,열려진창위에 도구-폴더옵션-파일형식-다운로드되는파일의 확장자선택한후-고급
-다운로드후 열기전에확인-항목에 체크해준후 확인해준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