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반상식으로 알아두면 좋을만한 컴퓨터 상식들은 어떤것들이 있을까?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의외의 오류들때문에 당황하게되는데 이럴때 일반상식을 읽어보는것만으로도 충분히 스스로가 오류들을 해결할수가 있다.


이러한 대처방법은 특별한것이아니라 가장 기본적이지만,설마 그러한것이 고장이나 오류를 해결해주겠는가라는

못미더움에의하여 기본적으로 실행하지않기 때문에 간단함을 어렵게 이해하고 일을 만들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요즘에도 프린터포트를 무선이나 usb방식이아닌 옛날의 lpt1방식으로 사용하는곳들이 있는데,현재에 나오는 컴퓨터들은 기본적으로  구형인 lpt1방식은 시몬스에서 사용안함으로 설정되어있는데,장치관리자에서 프린터 포트가 아예 보이지않는것은 시몬스에서 페러럴포드가 사용안함으로 설정되어있기 때문이기에 사용함으로 변경해주면 장치관리자에 자동생성되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이트나 기타 필요하는 카페등에 들어갔을때 엑티스엑스를 설치하려고해도 설치되지않고 "게시자를 확인할수......."라는 차단메세지만 나와 정상적으로 사이트기능을 활용할수없는 경우가 있는데,이런경우는 보안설정에서 "안전하지 않는것......",서명 안된 엑티브엑스......" 두가지 항목을 사용안함으로 체크해준후,엑티브엑스를 설치해주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usb방식으로 나오는 다양한 선들이있는데 앞이나 뒤에에달린 단자의 모양이나 규격이 서로 똑같다고 같은 선으로 생각하여 선구분을 할줄몰라 고장나지도 않은 기기들을 고장났다고 판단하는 경우가있는데,

똑같이 생겼더라도 이러한 선들은 자료나 사진들을 전송해주는 data케이블과 모양은 똑같지만 전기만 충전해주는 역할을하는 충전용 usb선이 있다.

디카나 기타 핸드폰등을 충전할때 같은모양의 usb선이라고 데이타용 선을 연결하여 아무리 기다려도 충전되어지지 않는다.마찬가지로 핸드폰과 컴퓨터의 자료나 사진등을 주고받으려고할때 충전용usb선을 연결하여도 자료나 사진등이 연결되어 지지않는다.

요즘에 나오는 외장하드나 외장시디롬등을 보면 usb단자를 가진 선들이 와이자 모양으로 두가닥으로 되어있는 경우들이 있는데,똑같은 usb단자라도 두개중에 한개는 데이타전송용이고 나머지하나는 단지 전원만을 공급하는 선이다.그러므로 똑같은 단자모양을 가졌더라도 usb안의 단자칩의 배열은 전원용과 데이타용이 다르게 배치되어있기에,2개의 usb단자중 아무선이나 꼽았다고 인식되지 않는다.usb선이 어떠한 용도인가 눈으로 쉽게구분할수있는 방법은 충전용usb선은 충전의 완료나 미완료를 알려줄수있도록 녹색과빨간색을 표시해주는 불빛창이 달려있으나 단지 데이타용 usb선은 이러한것이 존재하지 않는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팩스나,프린터,컴퓨터등 사무기기등은 대부분 메모리를 가지고있기에,작동되다가 오류가 생기는 경우가 간혹생기게된다.이런경우는 단지 기기에 연결된 전원선을 뺐다가 30초쯤후에 다시 연결하는것만으로 팩스가 안되거나 프린터가 안되거나 컴퓨터가 안되는 현상이 쉽게 정삭적으로 돌아와 기능하게된다.컴퓨터의 속성-고급에 시스템오류가 생길때 다시시작이라는 항목이 있는 이유도 다시시작하는것만으로 오류가 해결될수가 있기때문이다.

사무기기들뿐만아니라,공유기,보일러등 기타 전원을 사용하여 사용하는 모든기기는 오류가 생겼을때 전원을 완전히 뽑았다가 다시 전원을 공급해주는것만으로 큰 고장으로 생각되는것들이 쉽게 해결되어지는 경우가 많다.단지 전원선만 뽑았다가 다시 연결해주되는것을 하지않아,사람을 부르고 비싼 a/s료를 지불하는 사람들이 있다.

가끔보면 무선과 유선에 대하여 잘못된 상식을 가지고,그러한 상식을 올바른것인냥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특히 인터넷의 속도나 안정성등에 있어서 유선이 좋다라는 잘못된 몰상식을 가지는 경우가있다.보안이나 안정성,도청에있어 유선이 훨씬더 취약하다.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도 유선은 브라치시켜서 쉽게 도청할수가 있다.

유선은 거북이처럼 속도가 바껴왔다면 무선은 빛의 속도만큼 빠르게 발전해왔다.이러한 결과 요즘은 똑같은 인터넷회사 회선을 사용하더라도 무선으로 컴퓨터인터넷을 사용하는것이 유선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것보다 훨씬더 빠른 인터넷속도를 사용할수가 있게되었다.

인터넷속도가 무선이 빨라요?유선이 빨라요? 유선이라거나 똑같다고 답하는 사람은 한참 시대에 뒤떨어진 사람이라고 할수가 있다.집이나 사무실에서 컴퓨터나 프린터등 기타 기기들을 무선의 인터넷환경과 유선의 인터넷환경중에 어떤것으로 해드릴까요 물었을때 당근 무선을 선택해야한다.

무선으로 이루어진 집이나 사무실이 첨단이며,업무적으로나 기타 효율성면에서도 유선에비하여 더좋을뿐아니라 편리하다.무선에대하여 잘못된 상식중에 무선을 사용하면 유선보다 잘끊기거나 안된다라는 이런 몰상식편견을 상식인냥 말하는 사람이 있는데,핸드폰은 왜 사용하나? 망망대해에서도,지구의 오지에서도 무선은 똑똑하게 연결되어 사용되어지고 불편함이 없는데

고작 수십,수백미터 반경안에서 집이나 사무실안에 설치된 무선기기도 신뢰하지못하고 무선은 끊기고 어쩌구하는 인간이 있음은 코메디이다.유선이 오히려 유선노이즈로 인하여 잡음이 더 크다는걸 아는가? 유선전화기를 들었는데,다른집 대화가 들리는 경우처럼 유선의 선은 자신만이 독차지하여  혼선이나 오류가 없다는 생각또한 틀린것이다.집이나 사무실등에서 위급한 상황에서도 무선은 유선보다 훨씬 유용하고 잘 사용되어지며 유지비 측면에서도 유선은 노후화로인한 선교체를 주기적으로 해줘야하지만 무선은 그럴필요가 전혀없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공휴일이나 하루일과가 끝나서 물건을 사거나할경우 오히려 평일이나 일과시간보다

더 비싼돈을주고 구입해야한다는 상식을 알고계신가요?

약국이나 병원등은 일과시간이후나 토,일요일등의 공휴일등에 물건을 사거나 진료를 받을때 똑같은 물건이나 진료를 받더라도 더 비싼요금을 내야합니다.

약이나 기타 진료를 받을때는 공휴일이나 야간보다는 낮이나 평일에 구입하거나 진료받는게 더이득(?)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usb메모리스틱등을 꼽아서 사용해야할 경우가 종종있는데 다 사용하고 난후 하드웨어제거를 하려고하면 "일반볼륨 장치를 지금중지 할수없습니다"아래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가있는데 아래의 그림처럼 따라서 하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알약의 실시간감시 기능으로인하여,usb메모리스틱 제거시 오류가 간혹 나타나는데 이런경우는 위에그림처럼 알약위에서 실시간감시 체크부분을 체크해제한후,중지할수없다는 usb메모리스틱을 선택하여 중지하면 정상적으로 하드웨어를 제거할수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를 강제로 종료했거나,블루스크린이 나타난후 강제종료했을때 간혹 "a disk read error......."라는 메세지가 나타나면서 부팅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a를 플로피디스크를 의미한다는 엉뚱한 상식을 주장하는 이들이 있던데 잘못된 상식이고,이때의 디스크는 하드를 의미한다.이러한 메세지가 나타나는 이유는 하드의 데이타케이블과 메인보드의 끼워준(위에그림처럼 빨간선으로 표시한) 단자사이에 접촉이나 읽기오류가 발생한다는 의미이기에 여분의 다른 단자들이 있으면,다른 단자에 데이타케이블을 꼽아주면 정상적으로 부팅이되고 사용되어진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타하드와 파타하드를 겸용으로 사용하거나,사타하드전용 컴퓨터에 임의의 파타하드를 연결하여 자료나파일을 열어볼수있는지에대하여,

컴퓨터의 시디롬과 하드의 전원선과 데이타케이블형식이 기존의 아이디에이방식과 전혀다를 경우에도,모든 메인보드는 파타하드의 자료를 겸용으로 사용할수있도록 아이디에이를 지원하는 데이타케이블방식이 별도로 메인보드에 장착되어있다.

이럴경우 사타방식의 하드와 ida방식의 하드가 동시에 연결되었을때,컴퓨터의 운영체제의 시작은 사타하드에 설치된 하드를 먼저 부팅하여 컴퓨터는 작동하게된다.

사타하드와 겸용으로 연결된 파타하드는 이동식저장소가 있는 장치에 이동식디스크로 나타나는것이아니라 별도의 기본드라이브로 표시되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타하드를 사용하는 컴퓨터에는 병렬하드인 ata방식의 하드를 연결하여 무조건 자료를 볼수가있지만,그반대로 ata하드전용 컴퓨터에서는 sata하드 방식의 하드를 연결하여 자료를 보거나 활용할수가 없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타하드방식의 컴퓨터에 다른컴퓨터의 파타하드의 자료를 연결하여 보려는경우,위와같은 메세지표시가 나타나는데,예.아니오 어떤것도 선택함이없이 메세지박스를 그대로둔후 파타하드에서 필요한 자료를 사용하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시디롬이나 하드의 전원선과 케이블이 모두 기존 아이디에이방식과 모두 다를경우에도 메인보드에는 여분의 아이디에이방식의 테이타케이블을 연결할수있는 뱅크가 존재한다.운영체제설치 여부와상관없이 이곳에 ata하드를 연결하면,다른컴퓨터의 병렬하드일지라도 하드안에든 자료를 쉽게 사하거나 이동하여 활용할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