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달을 찍어 보았다. 8월의 달은 크고도 밝았다. 달을 보면 생각날 그 누구를 위하여.......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달이 하늘에 떠 있길래 사진을 찍어 봤는데 아무리 봐도 동그란 모양이 아니라 달걀모양으로 찍힌다. 과연 달이 구형이 맞는 것일까?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바다위에 물방울이 떨어지면 원모양으로 퍼저 나가는 이유, 이것 때문인데,

 

                                              달이 둥글기때문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러해는가? 너무 삶을 진지하게 생각하지는 않았는가? 문득 밤하늘에 둥근 보름달을 바라다 보았다.구름속에서 달은 모습을 감추고,

지나가면 밝은달이 보여진다고 생각했다.그러나 달은 하얀구름속에서는 그대로 밝은달의 모습을 보여주고,검은구름속에서만 모습이 보여지지않았다.

어쩌면 흔히 저지르는 오류중에 하나가,무언가를 정의하려는 자세인것같다.

사실은 정의할수 없음에도 기어이 정의하려는 어리석음,어떤삶이 행복한것인가에 대하여 여러가지 생각이 날것이다.


근데 인류의 역사가 이어진 지금까지 "이러한 삶이 행복이다"라고 누구에게나 알맞은 기준을 정의하여진 삶은 존재 하지않았다."하늘의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은 있다"라는 의미나 "내일 지구가 멸망해도 오늘 사과나무 한그루를 심겠다"라는 격언들은 삶에있어 중요한 의미를 제공해주고있다.그 의미는 다름아닌 스스로의 만족으로 살아가는 삶이 행복이라는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람이 살아가면서,삶에있어 절대적인 행복기준은 없지만,절대적인 생각을 의미하는 맹세는 존재한다.사람이 맹세를 해놓고,어기는 경우는 사는것보다,차라리 죽는것이 더 행복이다.왜그러냐하면 맹세는 인간에게만 주어진 지독한 특권이기때문이다.

맹세는 삶에있어 하지 않는것이 제일좋지만,어떠한 이유든지 맹세를했다면,그것을 흐지부지하여 아무리 오래살아 간다한들 아무런 의미가없는 삶일뿐이다.

삶이 값지고,의미가있는것은 스스로의 맹세를 지킬수있는 사람에게 존재하는것일뿐 다른 의미는 아니다.삶은 죽음의 반대말이지만 삶이라는 의미는 "생각을 지키고 지속한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기에 생각이없는 삶은 죽음보다 못한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람의 삶이 100년을 살면 행복하고,10년을 살면 불행이라는 세월의 다소로 판단하는 기준자체가 허무함이다.얼마나 오래 사는것이 중요한것이 아니라,얼마나 자신의 맹세에 충실하게 살았으냐가 더 의미가 있다.이러한 말이 맹세를하는 삶이 행복한 삶을 의미한다는 뜻은 아니다.단지 맹세를 했다면,"히히낙낙하며 그까이거 어기고,대강대강살지 뭐"라고 살아가려는 삶의 자세를 가졌다면, 차라리 그냥 맹세를 지키고 짧게 사는것이 삶의 행복에 가깝다는것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년은 몇일인가?라고 물으면 대부분은 정확하게 365일이라고 대답하지만 한달은 몇일인가?라고 물으면 제대로 대답하는 사람이 드물다.

태양을 기준으로하는 365과 달을 기준으로하는 음력을 사용하는 사회관습의 한달의 개념이 다르기때문이다.

한달,두달할때의 달은 지구에서 바라보는 달의 모양이 보름달에서 다시 보름달이 완성될때까지의 기간이 한달로 정했는데,

달의 이러한 완성주기는 평균 29,30일 정도가 걸렸다.이것을 12번 완성하면 1년이되었는데,


문제는 1년의 기준을 달만을 참고하여 1년은 354일이 아니라,1년을 지구가 바라보는 태양의 위치,지구는 태양을 기준으로 원을 기준으로 돌고있으므로,태양주위를 한바퀴 돌아 완성했을때의 1년 총날수가 365일이었다.고대로 태양과달은 날짜개념을 정하는 기준이 되어왔는데,일률적으로 태양을 기준으로하여 날짜를 정하여 사용하면,간단하고,편리하기에 오늘날 우리나라뿐만아니라,전세계에서 공통표준으로 사용하고있다.

그러나 아직도 달을 기준으로 일년을 계산하는 음력을 사용하는 국가들이 있는데,달의 완성주기로 1년을 보면 354일밖에 되지않고,농사나 계절의 변화에 큰영향을 미치는 태양을 기준으로한 1년은 365일의 주기와 일치하지않기에,이러한 불일치를 태양을 기준으로 1년을 일치시키기위하여 윤달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윤달은 태양기준의 1년과 달기준의 일년의 차이에서 매년 발생하는 평균 11일정도차이를 2-3년 모아두았다가,정기적으로 한달을 추가하여 일년은 12달이아니라,13달이 1년을 되게하여 태양과 달의 1년완성주기를 정기적으로 일치시켰다.윤달은 음력기준으로보면 부가적으로 생긴 한달이기에,공짜 한달이라는 개념이 되어진다.

윤달은 12달중에 어떤달에 부가하여 한달을 추가했는가라고 보면 음력에서 정상적인 1월이있고 윤 1월,이렇게 1월달이 두개가되는 해가있는데,2009년 올해는 5월에 윤달이 적용되어서 음력으로는 정상적인 5월과 윤5월이 적용되지는 해이다.올해는 그러므로 음력으로는 5월이 두달이 되어지게된다.

윤달의 논리상 어떤규칙을 정하여 부가된 달을 집어넣을필요는 없고,태양의 기준과 불일치되는 달의 1년주기의 짜투리 날짜를 모아두었다 붙여주면 됨을 알수있는데,이렇게되면 윤달은 언제냐라고 했을때,규칙성을 얻을수없기에,나름대로 규정을 만드는 방법이 다양했다.

이러한 규칙을 정하는데있어 참조한것이 지구가 태양을 한바퀴돌면 1년이되고,한번완성은 하나의 원이 완성되고 이것의 각도는 360도가되어지고,이것을 15도씩 24개의 원에 점을 찍어서 24등분을 만들고 이것을 24절기라고 규정하고,각등분마다 이름을 붙였다.

24절기중에 우리에게 익숙한 등분중에 하나가 동지팥죽을 먹는 동지이다.이처럼 24절기중에 동지같은 12개의 기준점이 들어있지 않는달이 들어있는 달이 있는데 이러한 달에는 윤달을 부가하는 규칙을 임의로 만들었다.

왜 음력에서 윤달을 반드시 만들어줘야만 할 실생활이 필요성이 있었을까?, 만약에 이러한 윤달의 규정을 적용하지않으면,달의 1년인 354일과 태양의 1년인 365일의 날짜차이가 10년만 그대로 윤달을 적용하지않으면 4달정도의 차이가 발생하여,음력 8월이 태양의 계절로 봤을때 12월이 되게되어,음력으로는 여름인데,태양의 계절로는 겨울의 계절이되기때문에 음력에있어 윤달은 필수적으로 만들어줘야했다.

윤달은 1년에있어 공짜달,부가된달이기에 이러한 윤달은 복덩어리달로 생각되었고,일상생활에서 집안을 정비하거나,수의를 맞추거나,치과치료를 받거나,헌것을 새것으로 만들거나,안좋은것들을 새롭게 좋게 만들어주는 달로여겨졌기에,윤달에 이러한것들을 행하였다.공짜로 부가된 한달이므로 인간만이 알고,귀신이나 신도 몰라!!, 윤달에는 신경을끄고,인간들의 행동을 살피지않는다라고 생각되어졌기에 평소에 안좋다하는일도,윤달에서는 해도 귀신이나 신의 노여움을 사지않는다라고 하였다.

편리한 서양력만을 사용하는것에 비하여,음력을 부가하여 사용하는것이 좋은점은 없는가라고 살펴보면,태양의 천문변화도 중요하지만 인간의 삶에는 달의 천문변화도 현실적이나 과학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낮엔 해처럼,밤에 달처럼,그렇게 살순없을까? "라는 노래처럼,낮에 주관자인 태양이 계절의 변화를 만들어내는데 중요한 역할을한다면,달은 밤에주관자로써,인간의 사랑과감정에 큰영향을 미친다.인간의 임신주기나 여성들의 생리주기는 달의 한달의 완성주기인 29일을 기준으로 한달이되고,바다의 밀물과썰물등의 변화등과같은 자연현상들을 달이 만들어내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달밤에 늑대울음소리를 내는 이유가?있다,없다.---------->달이 동물이나 인간의 신체와심리에 영향을 주기에 당연이 상관관계가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