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첫번째:특정사이트에 들어갔을때 창이 닫혀버린다는지,인터넷창 글자크기 오류등이 생긴다.

두번쨰:무선인터넷등을 연결할때 같은 네트워크그룹에 연결이 되지않는 오류등이 생긴다.

세번째:서비스팩3까지 설치한후 마지막 한번더 남은 업데이트과정을 끝마쳐야하는것이 현재까지는 윈도우업데이트의 마지막업데이트 과정이다.서비스팩3까지 설치했다고 업데이트를 다한것은 아니다.


네번째:윈도우업데이트와 윈도우미디어플레이어의 업데이트는 별개로 각각해줘야하는데 윈도우미디어업데이트를 상위버전인 10이나 11등으로 하지않았을 경우,인터넷으로 kbs등의 방송사들의 다시보기프로그램등을 시청함에있어 여러가지 오류와 오디오오류등이 발생하는데,

다시보기 동영상등이 재생될때 찍,찍 기타 금속성 잡음등이 간헐적으로 발생하는데 이런경우는 스피커나 컴퓨터의 문제가 아니라 재생되는 윈도우미디어플레이어 자체의 문제이므로 상위버전으로 업그레이드를 한후,컴퓨터의 실행창에 regsvr32 wmnetmgr.dll을 적어준후 확인을 해준다.

다섯번쨰:윈도우 익스플로어버전의 업그레이드에있어서 한글2007이상 버전과의 설치시 인터넷창이 먹통이 되는데 이러한 경우는 한글을 먼저설치하고난후 익스플로어버전을 업그레이드해야하며,꺼구로 설치했을시에는 익스플로어를 제거한후 재설치해야한다.

여섯번째:윈도우업데이트를 단지 보안을위해서 해주는 선택적문제로 생각하는것은 잘못된생각이며,새로운기기나 방식등의 프로그램등이 무수히 생겨나는 현실에서 그러한것과의 호환성을 오류없이해주기 위해서는 윈도우업데이트를 해주는것을 필수가 되어버렸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현장르포 "동행"의 인터넷 다시보기 서비스로 시청을 하려고했는데,

재생되는 윈도우 미디어의 표시가 음소거형태로 나타나며,"적절한 압축해제..."라는

오류메세지를 표시하며 영상만이 나왔다.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는지에대하여 윈도우미디어의 버전의 다운과 업에대하여 살펴보고,


어떻게하면 정상적인 미디어재생이 될수가있는지에대하여 살펴보자.


위에 표시는 윈도우미디어 6버전을 실시간 재생으로 지정했을때에 나타나는 화면으로 미디어에 표시된 스피커표시가 양쪽으로 보여지는것을 알수가있다.


위에표시는 윈도우미디어 9버전으로 재생되도록 설정했을때 나타나는 모습으로 스피커모양이 하나로 단순하게 표시되어 재생되어짐을 알수가 있다.

실시간방송이나 다시보기 서비스등에있어서 오류가 생길때는 윈도우미디어의 재생버전을 살펴보는것이 좋다.기본적으로 윈도우운영체제를 사용한다면 윈도우미디어 9버전이든 10버전이든 11버전이든 프로그램추가제거상에서 표시되어지는 버전이 하나일뿐이라도,상위버전은 하위버전을 기본적으로 포함하기에 상위버전의 제거를 실행하면 롤백기능이 수행되어 낮은버전으로 복원되어진다.

윈도우미디어를 낮은버전의 미디어로 재생하고 싶을때는 실행창에 regsvr32.exe msdxm.ocx 로 적어넣고 확인을 하면되겠고.

설치된 가장 높은버전의 윈도우미디어로 재생되게하려면 실행창에 regsvr32.exe wmpdxm.dll 을 적어넣고 확인을 하면된다.

윈도우미디어의 6버전으로 재생시 윈도우미디어의 소리표시가 음소거형태로 변한다면 일단은 높은버전의 윈도우 미디어로 재생될수있도록 실행창에 regsvr32.exe wmpdxm.dll 을 해준후,프로그램추가제거에서 통합코덱이니 한번에 해결해주는 코텍이니 같은 명칭은 제각각이겠지만,깔려져있는 코텍을 제거해주면 음소거 표시로인한 실시간이나 다시보기서비스시 영상만 나오고 음성이 나오지않는 오류를 해결할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