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잘나오던 인터넷창의 일부나 특정 글씨가 외계어의 형태로,무슨단어인지 알수없게 나오는 경우가 있다.

이런경우
일부글자깨짐 의 글을 살펴본후,그래도 되지않는다면 아래의 단계로 글자가 이상하게 보일때 적용하면 된다.


컴퓨터의 운영체제폴더들은 특정컴퓨터에서만 적용되는게아니라,같은 운영체제에서는 서로 시스템폴더가 공유되어 사용될수있기에,문제나 오류를 일으키는 폴더는 정상적인 컴퓨터내의 폴더를 복사해서,붙여넣기해주면 오류해결뿐만이 아니라 정상적으로 사용할수가있다.



컴퓨터내의 폰트(글꼴)폴더는 여러가지 한글등의 글꼴들을 저장하여놓는데.요즘은 신문사나 포탈들이나 제각각 좋다는 글꼴들을 배포하고,사용하도록하는데,주의를 기울이지않고,알게모르게 제각각 다운받아  글꼴들을 사용하는 경우들이 많은데,이러한 과정에서 운영체제의 글꼴폴더가 충돌과 오류,손상,삭제같은경우를 일으켜,글자들중에 알수없는 외계어 단어의 모습을 보이게되는데,이런경우는 폰트폴더자체를 정상적인 컴퓨터의 폰트폴더로 복사해다가 붙여넣기해주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외계어란,인터넷창의 글자들중에,일부나 전체가 위에그림처럼 괴상한 모양으로 읽을수 없게나는 오류현상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내컴퓨터-시드라이브-윈도우-폰트폴더가 운영체제의 글꼴을 보관하는 폴더이다.경로는 그러므로 C:\WINDOWS\Fonts이다.이러한 폰트폴더는 자신의 컴퓨터뿐만아리라,타인의 컴퓨터에도 똑같이 들어있는데 pc방이나 학교,친구나 기타 잡다한 폰트글꼴을 받아서 사용하지않고 기본적글꼴만을 사용하는 컴퓨터나,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컴퓨터내의  폰트폴더를 선택하여 마우스오른쪽버튼-복사해준후 usb메모리스틱이나 아니면 이메일등에 첨부하여 자신의 컴퓨터내에서 열어서 폰트폴더를 자신의 컴퓨터의 윈도우폴더내에서 붙여넣기해주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폰트폴더를 열어보면,글꼴폰트들이 다양하게 들어있음을 알수가있는데,이곳에 들어있는 기본폰트가 없거나,손상되었을경우 추가했던 폰트폴트가 손상되었거나,삭제되었거나,제기능을 하지않는경우 인터넷창에서 보여지는 글자가 깨어져보인다든지,기타 다양한 오류와충돌이 발생하게된다.

그러므로 기능적인 단계로 글자가 깨어지는것을 해결할수 없을때는,아예 다른 정상적인 컴퓨터의 폰트폴더를 간단히 마우스오른쪽복사를 선택하여,자신의 컴퓨터의 폰트폴더에 덮어쓰기해준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컴퓨터를 자주사용하지만 의외로 문을 닫고 여는 기초적인 습관을 소홀히 생각하거나,모르기때문에 사용자들이 당황해하는부분이,주소창부분과 작업표시줄의 오류문제이다.


주소창이 여러개 생기거나,사라지거나,즐겨찾기 아이콘이 사라진다거나,요상한 툴바들이 많이 생성되어있거나,

시작옆의 파란 작업표시줄의 사라지거나 이상한곳으로 이동해있거나 하는 오류들은,사용자가 인터넷창설정에서 문을 닫지않는 무관심에서 생기는 문제들이다.


작업표시줄이든,주소창줄이든 변형되지않고 사용하던 평상시 원래설정상태로 사용할수있게 해주는것이 도구모음잠금과 작업표시줄잠금기능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터넷창을 열면 위에그림처럼 주소창위에는 인터넷창을 편리하게해주는 즐겨찾기 아이콘이나 검색아이콘등이 보여지는 부분이있는데,이부분을 도구모음이라고한다.주소표시줄위에 빈공간-마우스오른쪽버튼-도구모음잠금기능이 보이는데,도구모음의 문을 닫는기능을 의외로 소홀히하여,주소표시창 부분이 이상하게 변한다던지,아이콘들이 사라진다든지,기타 잡다한 주소창의 모습으로 변형되게된다.

기본적으로 주소창위에 빈공간에서 마우스오른쪽버튼을 했을경우,나타나는 항목중에 도구모음잠금에 체크가 되어 있나 없나 살펴본다음,체크가 되어있지않다면 선택하여 체크해주고 사용하는것이 좋다.주소창의 변형과 오류들의 대부분은 설정한상태에서 문을 닫는 습관을 가지지않기에 생기는 문제들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또하나 컴퓨터에서 문을 잠그는 습관을 가져야하는 부분이 컴퓨터 바탕화면 시작옆에 생기는 파란 작업표시줄부분이다.이곳이 문이 잠겨져 있지않다면,작업표시줄이 위로가버리거나 옆으로 이동하거나,2중의 띠모양이 생기거나,아예 작업표시줄이 안보이거나하는 변형이 생기된다.그러므로 파란작업표시줄 빈공간에서-마우스오른쪽버튼-작업표시줄 잠금을 선택하여 체크하여 사용하는것이 좋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본적으로 알아두면 좋은 컴퓨터 기본상식중에 연결프로그램 부분이 있다.읽기만 가능하다든지,버전이 다르다든지하여 동일한 프로그램을 동시에 2개 깔아놓은 컴퓨터에서,열리는 문서가 읽기만 가능한 상태로 열리는 것을 당황해하는 분들을 때때로 보는데,동일한 프로그램이든 그렇지않든간에,문서에 맞는 프로그램이 있어야 열리는 문서들같은 경우에는 컴퓨터는 사람처럼 임기능력이 뛰어나지않기에,열려는 프로그램의 버전과는 상관없이 문서를 열수있는 프로그램이면 기본적으로 연결해버리기에,같은프로그램이라도 버전이나 제한이 차이를 인식하지못하고 랜덤으로 연결해버린다.


동일한 프로그램이 버전이나 제한차이가있는것이 2개이상 깔렸을때는 사용자가 작성된 문서에맞는 버전으로 연결프로그램을 설정해줘야한다.이것을 제대로 설정해주지 않는 상태에서는 문서에 맞는 프로그램에의하여 문서가 열린다해도 읽기만 가능하게되던지,글자가 깨져서 보인다든지 하는 오류가 나타나게된다.


이 연결프로그램지정을 모르는분이 문서를 열었을때,읽기만 가능하거나 글자가 깨져보인다고 프로그램설치가 잘못된것이 아닌가하고 수차례 지웠다,깔았다하는분을 본적이 있다.동일한 프로그램이라도 2개이상의 상이버전이나 제한버전이 함께 컴퓨터에 깔려있을때는,어느한쪽 버전을 삭제해주거나 그렇지않고 동일한 프로그램 2개를 꼭 사용하려고 한다면,필수적으로 열려는 문서의 버전이나 제한에맞는 프로그램을 연결프로그램설정에서 꼭 지정해줘야한다.

방법은 한번의 설정으로 간단하게 해결할수가 있기에 위에 그림처럼 열려는 문서위에서 마우스오른쪽버튼-연결프로그램-프로그램선택에서 문서에 맞는 프로그램버전을 선택해준후,이 종류의 파일을 열때 항상 선택된 프로그램 사용체크해준후 확인하면 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