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진이나 배경의 특정부분을 오려 내거나 분리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어렵게 생각하는 사람들은 아래의 일반 상식적 과정과 단계를 보면 시간을 들여 노가다방식으로 인물이나 부분을 따서 활용하는게 아니라 간단히 20-30초면 배경이나 인물부분을 쉽게 오려 내거나 다른배경으로 바꾸어 활용할수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윈도우9의 배경으로 무엇을 응용해 볼까하여 일본야후의 이미지 검색을 통하여 적당한 배경사진을 골랐는데 배경으로 쓸려면 인물자리에 윈도우9문구를 적어 넣으려면 인물을 오려내야하는데, 이러한 작업들의 과정을 통하여 바탕화면 배경사진을 만들어 본 과정은 아래와 같다

사진의 특정부분을 오려 내거나 편집하거나 활용하는데 있어 포토샵이나 플래시의 올가미툴,마법봉등의 전문적인 프로그램이나 이론적 지식이 있어야 하는 것은 전혀 아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초보자라도 누구나 쉽게 마우스 몇 번 움직이면 간단히 인물이나 특정부분을 오려 내주는 간단한 도구프로그램들이 많이 존재한다

이러한 것을 이용하여 오려낼 부분을 대충 뭉개준후 적용하면 특정인물이나 부분을 간단히 오려 낼수가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배경에 다른 특정문구를 합성하는 것도 특별한 프로그램이 필요치 않고 글씨쓰기가 되는 그림판종류면 아무것이나 가능하다. 


이러한 과정은 많은 시간이 불필요하고 오려낼 부분을 대충 한두줄을 그어주면 자동적으로 도구프로그램이 그어준 줄 색깔에 따라 빨간색은 사라져야할 배경부분,녹색은 오려내여야할 부분 같은 동작방식으로 

배경과 오려낼부분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오려내주므로 20-30초면 뚝딱 포토샵지식이 전혀 없는 초보자도 누구나 새로운 배경을 가진 사진이나 그림을 쉽고 간단히 만들어 낼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을 잘 그리지 못하는 사람들이라도,그림판의 기능을 이용하여,누구나 쉽게 그림을 그려낼수가 있다.이러한 그림들은

바다나 산등과 같은 자연풍경화를 그림의 기초실력이 전혀없더라도 누구나 쉽게 그려내고,글쓰기에 필요한 그림들을 만들어 낼수가있다.

그림판의 기능중에 글자쓰기기능인 a와 크기를 조절하는 사각형,그리고 양뿔모양인 그라데이션 3가지 기능을 알기만하면,쉽게 만들어 낼수가있다.

그림판에서 그림실력이 없더라도,풍경화를 자연스럽게 만들어내는 단계에대한 글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판도구의 빨간동그라미 쳐진 3가지도구를 이용하여,만들어낸 그림이 위에 그림인 바다위에 희미하게 보이는 산그림이다.이러한 그림을 보면 그림실력이 있어야 그릴수있지않나 이런 생각이 들수도있겠지만,사실은 전혀 그렇지않고,그림판도구의 3가지기능을 단지 활용하면,10초내에 뚝딱 그려낼수있는 그림이다.저러한 그림을 캠퍼스화로 그려낼려면 그림의 기초실력이 있어야할뿐아니라 시간이 많이 걸린다.단색의 색깔을 그라데이션을 이용하여 바다물결처럼 퍼지게 만들고,바다물결의 일부를 떼어내어 자유변형도구를 이용하여,희미한 산모양을 붙여주었을 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다위에 뭔가 지나가는 모습을 한두번 찍어주면,또다른 효과의 그림을 부가적으로 얻을수가 있다.이것에 글자쓰기도구인 a를 이용하여 글자를 집어넣으면 아래의 그림이 되어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판의 3가지 도구를 이용하여,누구나 쉽게 그림을 만들어 낼수있음을 알수가있고,이러한 그림들은 그림을 그리는 기초실력이없더라도,그림판의 도구를 사용할줄만 안다면,글쓰기에 필요한 다양한 그림들을 스스로가 만들어 사용할수있음을 알수가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과 사진의 겹침에대하여,원본사진에 다른사진을 겹쳤을때,

희미하게 뒷배경이 나오게하는 효과를 컴퓨터에 내장된 그림판에서 쉽게 만들어낼수가 있다.


구지 다른이미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지않더라도,사진속에 다른사진배경을 넣고싶을때는 그림판을 이용하여 만드는것이 가장쉽고,빠른방법이다.


아래의 그림을보면 쉽게 사진과 사진의 겹칩효과를 만들어낼수가 있다.


예를들어 위에 사진배경을 사용하여 아래의 사진을 겹쳐 희미한 배경 사진효과를  그림판을 이용하여 만들어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두개의 사진을 겹쳐서 희미한 투명효과를 만들려면,아래의 그림처럼 마우스를 드래그를 해주면 간단히 만들어낼수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과사진의 겹칩효과를 만들어내려고 할경우,겹칠 하나의 사진을 선택하여,마우스왼쪽을 선택한 상태에서 드래그하여 미리보기된 작은사진을 겹친상태에서,키보드자판의 프린트스크린키를 선택해준후,그림판을 열어서 붙여넣기해준후,늘이기항목을 선택하여,사진을 늘려주면 그림판에서 간단히 만들어 낼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두개의 사진을 겹쳐 그림판에서 간단히 만들어낸 결과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별빛을 만드는 방법에대하여,반짝,반짝 빛나는 별빛은 그림이나


사진뿐아니라 캐릭터그림등에 부가적으로 넣어서 사용할수가 있는데.


별빛모양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배워보자.먼저 그림판에서 움직이는 별빛을 만들기전에


대략적인 그림을 그려줘야한다.아래의 그림단계를 통하여 만들어지는 과정을 쉽게 이해할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판위에 동그라미를 그려준후,색상편집기에서 선형을 선택해준후,동그라미원에 들어갈 모양의 색깔을 하야스름하게 채워준후,자유변형옆에있는 빨간밑줄친 도구를 이용하여,색깔을 제대로 만들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그랗게 그려진 원주위에 으로 4방으로 퍼지는 꼬리를 위에 그림처럼 그려준다.이렇게 그린그림이 어떻게 별빛모양이 될까?그런 의문이 들수도있지만,이그림은 나중에 완성된그림을 보면 별빛처럼 보이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려진 그림을 빨간밑줄친 자유변형도구를 선택하여,위에그림처럼 크기를 아주작게 줄여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서 작게되어진 그림을 심볼로 변환해준후,심볼의 타임라인 효과중에 흐림을 적용해준다.


                                완성되어진 그림은 반짝거리는 별빛처럼  보여진다.



한개의 만들어진 별빛은,여러개로 복사하여 다른그림을 만들어내거나,다른바탕화면 그림에 집어 넣어서 다양하게 활용할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수선화의 꽃말을 아세요? 수선화의 꽃말은 행운입니다."라는 구절로,

물결치는 글자효과를 어떻게 만드는지에대한 방법입니다.쓰여진 글자에 다양한 효과를 주는 방법은 여러가지이기에,


다양하게 선택할수 있습니다.여기서는 누구나 간단하고,쉽게 쓰여진 글자에 물결치는 모습의 효과를 만들어볼수 있게합니다.

일반상식적으로 아,이렇게 만드는구나로 가볍게 읽어보고,만들어보고 싶을때 참조하면 되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판에 먼저,배경문서를 하얀색인 상태에서,아무글귀나 적어준후,임의의 크기만큼 프레임을 늘려줍니다.여기서는 20프레임으로 늘린다음,레이어상에 열쇠모양의 아이콘을 선택하여 잠가둡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레이어를 하나 추가해준후,사각형그리기도구로 쓰여진 글자크기의 넓이와 비슷한 막대를 맨위에 그려넣어줍니다.이때에 막대속에 들어갈 색깔은 하얀색,알파값은 30-40정도사이를 선택해줍니다.알파값이 낮아질수록 완전투명상태로 가기에,어느정도의 투명을 만들것인지는 임의적으로 선택해줍니다.여기는 알파값을 39로

사용자 삽입 이미지

레이어2에서 프레임을 20프레임으로 늘려주고,키프레임을 삽입한후 사각형막대를 쓰여진 글자의 맨아래로 이동시켜 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레이어2의 첫프레임을 선택한후,아래부분의 항목들중 속성에서 모양(세이프)트이닝을 선택해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양트이닝이 정상적으로 되었다면,색깔바탕의 화살표모습이 나타나게됩니다.레이어2를 잠가준후,다시 레이어를 추가해준후,이번에도 레이어2에서 했던 방식과똑같이 해주는데,단지 사각형막대모양을 글자 1-2개크기로 그려준후,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대각선방향으로 이동시켜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든단계가 끝났습니다.쓰여진 글자위로  물결치는 효과처럼 보이는지,확인만 하면 되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역시 허접해 보이네요^^;;  간단히 만들수있는 방법이구나 정도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포털이나 사이트에 이미지를 올릴경우에 사진의 업로드하는 상태표시가 지속되거나,

사진이 업로드가 되지않을때는 사진자체의 확장자를 변환하여 활용하면 올릴수가있다.

가끔가다가 플래시에서 편집한 사진을 업로드할때 올리기중이라는 표시만 나타나고 사진이 업로드가 안되는경우가있었는데,


좀 번거롭지만 파일확장자를 바꾼후 원래파일의 확장자로 바꾸어주니,잘올려졌다.간단하기에 그림만으로 쉽게 이해할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의 단계처럼 올리려는 사진이 업로드가 되지않는경우에는 그 그림을 그림판으로 열어준후,파일-다른이름으로저장-24비트 비트맵-을선택한후,바탕화면으로 저장위치를 지정한후 저장해주면 원래그림파일명을 가진그림인 k1.jpg가있고,k1.bmp가 보이게된다.

bmp파일의 변환장점은 기존 jpg의 사진이가지는 카메라나 속성정보를 초기화시켜버리기에,초기화된 k1.bmp파일을 다시 그림판을 사용하여 열어준후 위에 똑같은단계인 다른이름저장으로 선택한후 파일형식을 다시 jpg로 선택하면 원래의 k1.jpg파일과 똑같아진다.

단지 그림의 속성정보오류때문이었는지 모르겠지만,사진올리기중이라는 표시만 나타나고 올리기가 되지않는 사진일지라도 잘올려졌다.,어째든 bmp변환과정을 거쳐서 jpg가된 사진은 원래의 jpg파일과 사진이나 그림의 품질상태는 똑같지만,변환과정를 통하여,사진올리기문제가 해결될수도 있다는점이다.

P/S:사진의 확장자의 변환과정의 한가지의 장점을 더 살펴보면,사진을 업로드시 일정용량으로 제한된 사이트의 게시판인경우,파일의확장자를 변환해주는것만으로도,파일용량이 적어질수 있기에 용량제한으로 올릴수없는 경우의 사진일지라도 올릴수있게 해준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블로그에 글과함께 사진이나 캐릭터를사용하게될경우,전문프로그램을 배우거나 사용할줄모르는 사람두 쉽게 글과어울리는 자신만의 귀여운사진을 만들어낼수있게해주는것이,컴퓨터에 자체로 내장된 그림판이다.

그림판의 사용법에대한 조금만 관심을기울인다면,좋은상식을 얻을수가있다.캐릭터나 사진들에는 뒷배경이 하얗게되어 저장되어지는파일들이있다.


뒷배경이없는 캐릭터자체의 모습만을 활용하구싶은데,포토샵이나 플래시를 배운적은없구,쉽게할수있는방법이없을까?


그럴경우에,훌륭한도구가,컴퓨터에 기본적으로들어있는 그림판을 활용하는것이다.아래의 그림과정을보면,쉽게이해가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그림판을 실행하구,어떤사진을 불러온후,그위에 특정캐릭터를 만들어주고싶은경우,그림에서
"이부분"이라구한곳의 기능을 이해하면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그림판오른쪽항목인 별모양옆에,사각형을선택해준후, 이미지-불투명하게그리기(d)에 체크가되면,사진위에 캐릭터를 부가해주려고했을경우 뒷배경이있는 캐릭터는,하얀색여백을 가진채로 캐릭터가 사진위에보여지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배경있는 캐릭터가 위치할부분에 사각형을그려준후,그위에서 마우스오른쪽버튼-파일로붙여넣기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 파일로부터 붙여넣기할 캐릭터가들어있는 파일을선택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캐릭터가 하얀여백을가지구있었으므로,그대루,사진위에는 하얀여백이 남아있는 캐릭터의모습이 나타나게된다.그러나 뒷배경없이,캐릭터모습만이 사진위에있게하면 더잘어울릴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그림판에서 이미지-불투명하게 그리기(d)에 체크해제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캐릭터가위치할 특정부위에 사각형을 그려준후,그위에서 마우스오른쪽버튼-파일로부터
붙여넣기해준후,캐릭터파일을 불러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하얀배경을가진 캐릭터가 하얀배경없이,캐릭터그자체만이,사진위에 보여지는것을 알수가있다.,이처럼,그림판기능을 조금만 관심을가지구 알아둔다면 누구라두 쉽게 깜직한캐릭터편집표현을 해줄수가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