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을 잘 그리지 못하는 사람들이라도,그림판의 기능을 이용하여,누구나 쉽게 그림을 그려낼수가 있다.이러한 그림들은

바다나 산등과 같은 자연풍경화를 그림의 기초실력이 전혀없더라도 누구나 쉽게 그려내고,글쓰기에 필요한 그림들을 만들어 낼수가있다.

그림판의 기능중에 글자쓰기기능인 a와 크기를 조절하는 사각형,그리고 양뿔모양인 그라데이션 3가지 기능을 알기만하면,쉽게 만들어 낼수가있다.

그림판에서 그림실력이 없더라도,풍경화를 자연스럽게 만들어내는 단계에대한 글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판도구의 빨간동그라미 쳐진 3가지도구를 이용하여,만들어낸 그림이 위에 그림인 바다위에 희미하게 보이는 산그림이다.이러한 그림을 보면 그림실력이 있어야 그릴수있지않나 이런 생각이 들수도있겠지만,사실은 전혀 그렇지않고,그림판도구의 3가지기능을 단지 활용하면,10초내에 뚝딱 그려낼수있는 그림이다.저러한 그림을 캠퍼스화로 그려낼려면 그림의 기초실력이 있어야할뿐아니라 시간이 많이 걸린다.단색의 색깔을 그라데이션을 이용하여 바다물결처럼 퍼지게 만들고,바다물결의 일부를 떼어내어 자유변형도구를 이용하여,희미한 산모양을 붙여주었을 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바다위에 뭔가 지나가는 모습을 한두번 찍어주면,또다른 효과의 그림을 부가적으로 얻을수가 있다.이것에 글자쓰기도구인 a를 이용하여 글자를 집어넣으면 아래의 그림이 되어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판의 3가지 도구를 이용하여,누구나 쉽게 그림을 만들어 낼수있음을 알수가있고,이러한 그림들은 그림을 그리는 기초실력이없더라도,그림판의 도구를 사용할줄만 안다면,글쓰기에 필요한 다양한 그림들을 스스로가 만들어 사용할수있음을 알수가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이나 그림에 물방울이 흐르는 그림은 어떻게 만들어 낼까?
 
물방울처럼 동그라미를 만들고,그것을 사진이나 그림과 겹쳐주면 간단히 만들수가있다.

물방울을 어떻게 만들고,어떻게 적용하면 투명한 물방울처럼 보이게되는지에 대한 글이다.

물방울을 만들었다면,그것을 사진이나 그림에 집어넣어서 다양한 효과를 만들어낼수있다.

아래의 그림단계를 통하여보면 어떻게 만드는지쉽게 이해할수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판에 동그라미를 색상혼합기에서 흰색의 방사형을 선택하여  알파값을 조절하여,그려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얀동그라미를 그려준 밑에 다시 큰동그라미를 그려주는데,이때의 동그라미는 알파값이 0인 방사형 동그라미로 만들어 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작은 하얀동그라미와 큰동그라미를 결합하여 하나로 만들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만들어준 동그라미를 움직여보면 물방울처럼 움직인다.이때 만들어진 물방울은 알파값이 0이기때문에 배경사진이나 그림을 바꿔어주면 배경그림이나 사진을 투명하게 비추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배경색이 투명하게보이는 물방울 png파일,이렇게 만들어진 물방울 png는 어떤사진이나 그림에 같다 붙여도 물방울이 겹쳐서 보이게된다.


                            사진과 겹쳐을때 물방울 비스무리하게 보이는지 적용해본 결과이다.


이처럼 사진이나 그림에 물방울효과를 적용하는것은 간단하고 쉽다.물방울의 크기는 임의적으로 줄이거나 크게만들수있음으로,풀잎이나 기타 필요한경우에 위에단계로 만들면 쉽게 이슬같은  물방울효과를 만들어 낼수가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별빛을 만드는 방법에대하여,반짝,반짝 빛나는 별빛은 그림이나


사진뿐아니라 캐릭터그림등에 부가적으로 넣어서 사용할수가 있는데.


별빛모양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배워보자.먼저 그림판에서 움직이는 별빛을 만들기전에


대략적인 그림을 그려줘야한다.아래의 그림단계를 통하여 만들어지는 과정을 쉽게 이해할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판위에 동그라미를 그려준후,색상편집기에서 선형을 선택해준후,동그라미원에 들어갈 모양의 색깔을 하야스름하게 채워준후,자유변형옆에있는 빨간밑줄친 도구를 이용하여,색깔을 제대로 만들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동그랗게 그려진 원주위에 으로 4방으로 퍼지는 꼬리를 위에 그림처럼 그려준다.이렇게 그린그림이 어떻게 별빛모양이 될까?그런 의문이 들수도있지만,이그림은 나중에 완성된그림을 보면 별빛처럼 보이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려진 그림을 빨간밑줄친 자유변형도구를 선택하여,위에그림처럼 크기를 아주작게 줄여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서 작게되어진 그림을 심볼로 변환해준후,심볼의 타임라인 효과중에 흐림을 적용해준다.


                                완성되어진 그림은 반짝거리는 별빛처럼  보여진다.



한개의 만들어진 별빛은,여러개로 복사하여 다른그림을 만들어내거나,다른바탕화면 그림에 집어 넣어서 다양하게 활용할수가 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이나 사진을 보다보면 특정부분에 사진기의 플래쉬 별빛처럼 보이는

그림이나 사진들을 볼수있는데,포토샵이나 기타 프로그램사용법을 배워야 할수있는게아니라,

이러한 효과는 포토샵이나 이미지프로그램들을 전혀모르더라도,쉽게 만들수 있는것들이다.

사진에 별빛이 반짝거리는 모습은 어떻게 만드는지에대한 글이다.

아래의 과정을보면 단지 그림의 겹침임을 알수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얀색의 막대를 십자가모양으로 만들어준후 늘려준 그림을 만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빛나는 모양의 중심을 만들어주기위해서 하얀 원모양의 그림을 만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두개의 그림을 합치면,빛나는 별빛모양같은 그림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것을 gif형식으로 만들어주면 움직이는 모양의 별빛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저렇게 만들어진 별빛모양을  어떻게 사진과 겹쳐서 사용할수있는지(위에 그림은 홍수현님의 싸이월드 미니홈피 사진화면캡쳐) 적용해보면 아래와 같다.


사진위에다,별빛효과파일을 단지 겹쳐주었다.별빛효과를 만드는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수있기에,자신이 간단하고 쉽다고 생각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주면 된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수선화의 꽃말을 아세요? 수선화의 꽃말은 행운입니다."라는 구절로,

물결치는 글자효과를 어떻게 만드는지에대한 방법입니다.쓰여진 글자에 다양한 효과를 주는 방법은 여러가지이기에,


다양하게 선택할수 있습니다.여기서는 누구나 간단하고,쉽게 쓰여진 글자에 물결치는 모습의 효과를 만들어볼수 있게합니다.

일반상식적으로 아,이렇게 만드는구나로 가볍게 읽어보고,만들어보고 싶을때 참조하면 되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판에 먼저,배경문서를 하얀색인 상태에서,아무글귀나 적어준후,임의의 크기만큼 프레임을 늘려줍니다.여기서는 20프레임으로 늘린다음,레이어상에 열쇠모양의 아이콘을 선택하여 잠가둡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레이어를 하나 추가해준후,사각형그리기도구로 쓰여진 글자크기의 넓이와 비슷한 막대를 맨위에 그려넣어줍니다.이때에 막대속에 들어갈 색깔은 하얀색,알파값은 30-40정도사이를 선택해줍니다.알파값이 낮아질수록 완전투명상태로 가기에,어느정도의 투명을 만들것인지는 임의적으로 선택해줍니다.여기는 알파값을 39로

사용자 삽입 이미지

레이어2에서 프레임을 20프레임으로 늘려주고,키프레임을 삽입한후 사각형막대를 쓰여진 글자의 맨아래로 이동시켜 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레이어2의 첫프레임을 선택한후,아래부분의 항목들중 속성에서 모양(세이프)트이닝을 선택해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양트이닝이 정상적으로 되었다면,색깔바탕의 화살표모습이 나타나게됩니다.레이어2를 잠가준후,다시 레이어를 추가해준후,이번에도 레이어2에서 했던 방식과똑같이 해주는데,단지 사각형막대모양을 글자 1-2개크기로 그려준후,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대각선방향으로 이동시켜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든단계가 끝났습니다.쓰여진 글자위로  물결치는 효과처럼 보이는지,확인만 하면 되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역시 허접해 보이네요^^;;  간단히 만들수있는 방법이구나 정도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을 A4용지등에 인쇄함에있어,A4용지에 사진의 위치와 변경,적어넣는 글들이 적정한 위치 인쇄방법에 대한 여러가지 방법이있는데,

번거롭게 서툴게하는 분들이 의외로 많았다.한글등 기타프로그램등을 이용하여
편집하여 인쇄하는 방법도 있을수 있겠지만,

잡다한 편집프로그램이 없더라도,
컴퓨터운영체제자체에는 간단하고 빠르게 할수있는

사진인쇄마법사기능과 그림판기능이 내장되어있다.
예시 그림단계로 일반 상식적인 방법에대하여 살펴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반적으로 사진을 a4용지등에 인쇄할때,인쇄될 용지상에 인쇄될 사진의 자유로운 위치변형과 모습을 쉽게 도와주는것이 위에그림처럼 사진위에서 마우스오른쪽버튼-인쇄를 선택했을때 나타나는 사진,인쇄마법사창을 이용하는 것이다.그러나 a4용지상에 적정한 위치에 사진이 인쇄되게하는것 뿐만아니라,사진에대한 부가적인 글과 설명을 넣고  인쇄하게해주는 기능에서 가장 빠르고 쉽게 할수있는 것이 그림판기능의 활용인데,그림판 사진인쇄 활용에대하여 배워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을 선택하여 열면,저절로 그림판이 나타나게 되는데,파일-페이지설정을 선택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페이지설정창이 나타나는데,이곳에서 인쇄될 a4용지에서 인쇄될 사진의 부분의 위치를 방향,가운데,크기등을 임의로 지정하면,인쇄될 위치에 사진이 위치하게된다.그림판의 페이지설정창에는 미리보기란이 있기에,설정에따라 a4용지상에 제대로 위치해지는지 확인할수가 있다.설정을 완료해준후 확인을 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림판에서 파일-인쇄 미리보기-를 선택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인쇄미리보기창이 나타나는데 위부분에 있는 인쇄를 선택하면,위에 단계의 그림판 페이지설정한대로 a4용지상에 사진이 위치되어 있음을 알수있고,보여져 설정되어진대로 a4용지상에 인쇄가 되어진다.a4용지상에 사진의 적정한 위치 인쇄는 그림판의 페이지설정항목을 이용하고,그림아래에 부가되어 쓰여질 글이나 설명부분은 그림판의 왼쪽의 아이콘모습들중에 A를 선택한후 사진이 적정하게 위치된 아래부분에 글을 적어줄 공간만큼 마우스왼쪽 버튼을 드래그하여 공간을 만들어준후 그안에 부가하여 적어준다,

컴퓨터에 저장된 사진을 열어준다-그림판기능을활용 하여 인쇄될 용지상에 사진의 위치설정과 그에 대한 설명글을 적어준다.사진을 A4용지상에 아래,위,중간,맨끝,맨위,맨오른쪽,맨왼쪽등 어떻게 위치시키지? 그림판,A4용지상에 사진을 특정부분에 위치시키고 더불어 설명과 부가적인 글을 적어서 인쇄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지? 그림판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포털이나 사이트에 이미지를 올릴경우에 사진의 업로드하는 상태표시가 지속되거나,

사진이 업로드가 되지않을때는 사진자체의 확장자를 변환하여 활용하면 올릴수가있다.

가끔가다가 플래시에서 편집한 사진을 업로드할때 올리기중이라는 표시만 나타나고 사진이 업로드가 안되는경우가있었는데,


좀 번거롭지만 파일확장자를 바꾼후 원래파일의 확장자로 바꾸어주니,잘올려졌다.간단하기에 그림만으로 쉽게 이해할수가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의 단계처럼 올리려는 사진이 업로드가 되지않는경우에는 그 그림을 그림판으로 열어준후,파일-다른이름으로저장-24비트 비트맵-을선택한후,바탕화면으로 저장위치를 지정한후 저장해주면 원래그림파일명을 가진그림인 k1.jpg가있고,k1.bmp가 보이게된다.

bmp파일의 변환장점은 기존 jpg의 사진이가지는 카메라나 속성정보를 초기화시켜버리기에,초기화된 k1.bmp파일을 다시 그림판을 사용하여 열어준후 위에 똑같은단계인 다른이름저장으로 선택한후 파일형식을 다시 jpg로 선택하면 원래의 k1.jpg파일과 똑같아진다.

단지 그림의 속성정보오류때문이었는지 모르겠지만,사진올리기중이라는 표시만 나타나고 올리기가 되지않는 사진일지라도 잘올려졌다.,어째든 bmp변환과정을 거쳐서 jpg가된 사진은 원래의 jpg파일과 사진이나 그림의 품질상태는 똑같지만,변환과정를 통하여,사진올리기문제가 해결될수도 있다는점이다.

P/S:사진의 확장자의 변환과정의 한가지의 장점을 더 살펴보면,사진을 업로드시 일정용량으로 제한된 사이트의 게시판인경우,파일의확장자를 변환해주는것만으로도,파일용량이 적어질수 있기에 용량제한으로 올릴수없는 경우의 사진일지라도 올릴수있게 해준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블로그에 글과함께 사진이나 캐릭터를사용하게될경우,전문프로그램을 배우거나 사용할줄모르는 사람두 쉽게 글과어울리는 자신만의 귀여운사진을 만들어낼수있게해주는것이,컴퓨터에 자체로 내장된 그림판이다.

그림판의 사용법에대한 조금만 관심을기울인다면,좋은상식을 얻을수가있다.캐릭터나 사진들에는 뒷배경이 하얗게되어 저장되어지는파일들이있다.


뒷배경이없는 캐릭터자체의 모습만을 활용하구싶은데,포토샵이나 플래시를 배운적은없구,쉽게할수있는방법이없을까?


그럴경우에,훌륭한도구가,컴퓨터에 기본적으로들어있는 그림판을 활용하는것이다.아래의 그림과정을보면,쉽게이해가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그림판을 실행하구,어떤사진을 불러온후,그위에 특정캐릭터를 만들어주고싶은경우,그림에서
"이부분"이라구한곳의 기능을 이해하면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그림판오른쪽항목인 별모양옆에,사각형을선택해준후, 이미지-불투명하게그리기(d)에 체크가되면,사진위에 캐릭터를 부가해주려고했을경우 뒷배경이있는 캐릭터는,하얀색여백을 가진채로 캐릭터가 사진위에보여지게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배경있는 캐릭터가 위치할부분에 사각형을그려준후,그위에서 마우스오른쪽버튼-파일로붙여넣기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 파일로부터 붙여넣기할 캐릭터가들어있는 파일을선택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캐릭터가 하얀여백을가지구있었으므로,그대루,사진위에는 하얀여백이 남아있는 캐릭터의모습이 나타나게된다.그러나 뒷배경없이,캐릭터모습만이 사진위에있게하면 더잘어울릴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그림판에서 이미지-불투명하게 그리기(d)에 체크해제해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캐릭터가위치할 특정부위에 사각형을 그려준후,그위에서 마우스오른쪽버튼-파일로부터
붙여넣기해준후,캐릭터파일을 불러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에그림에서처럼,하얀배경을가진 캐릭터가 하얀배경없이,캐릭터그자체만이,사진위에 보여지는것을 알수가있다.,이처럼,그림판기능을 조금만 관심을가지구 알아둔다면 누구라두 쉽게 깜직한캐릭터편집표현을 해줄수가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