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꿈을 찾으며

 

 

 

꽃은 피고 지고

때를 가리지 않고

 

바람은 이고 지고

갈 곳을 정하지 않네.

 

이고 지는 저 구름은

땅위를 가리지 않고

 

높은 산 맑은 구름은

시비를 가리지 않네.

 

 

 

지은이: kungmi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러해는가? 너무 삶을 진지하게 생각하지는 않았는가? 문득 밤하늘에 둥근 보름달을 바라다 보았다.구름속에서 달은 모습을 감추고,

지나가면 밝은달이 보여진다고 생각했다.그러나 달은 하얀구름속에서는 그대로 밝은달의 모습을 보여주고,검은구름속에서만 모습이 보여지지않았다.

어쩌면 흔히 저지르는 오류중에 하나가,무언가를 정의하려는 자세인것같다.

사실은 정의할수 없음에도 기어이 정의하려는 어리석음,어떤삶이 행복한것인가에 대하여 여러가지 생각이 날것이다.


근데 인류의 역사가 이어진 지금까지 "이러한 삶이 행복이다"라고 누구에게나 알맞은 기준을 정의하여진 삶은 존재 하지않았다."하늘의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은 있다"라는 의미나 "내일 지구가 멸망해도 오늘 사과나무 한그루를 심겠다"라는 격언들은 삶에있어 중요한 의미를 제공해주고있다.그 의미는 다름아닌 스스로의 만족으로 살아가는 삶이 행복이라는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람이 살아가면서,삶에있어 절대적인 행복기준은 없지만,절대적인 생각을 의미하는 맹세는 존재한다.사람이 맹세를 해놓고,어기는 경우는 사는것보다,차라리 죽는것이 더 행복이다.왜그러냐하면 맹세는 인간에게만 주어진 지독한 특권이기때문이다.

맹세는 삶에있어 하지 않는것이 제일좋지만,어떠한 이유든지 맹세를했다면,그것을 흐지부지하여 아무리 오래살아 간다한들 아무런 의미가없는 삶일뿐이다.

삶이 값지고,의미가있는것은 스스로의 맹세를 지킬수있는 사람에게 존재하는것일뿐 다른 의미는 아니다.삶은 죽음의 반대말이지만 삶이라는 의미는 "생각을 지키고 지속한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기에 생각이없는 삶은 죽음보다 못한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람의 삶이 100년을 살면 행복하고,10년을 살면 불행이라는 세월의 다소로 판단하는 기준자체가 허무함이다.얼마나 오래 사는것이 중요한것이 아니라,얼마나 자신의 맹세에 충실하게 살았으냐가 더 의미가 있다.이러한 말이 맹세를하는 삶이 행복한 삶을 의미한다는 뜻은 아니다.단지 맹세를 했다면,"히히낙낙하며 그까이거 어기고,대강대강살지 뭐"라고 살아가려는 삶의 자세를 가졌다면, 차라리 그냥 맹세를 지키고 짧게 사는것이 삶의 행복에 가깝다는것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삼국사기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공통적인 기록중에 하나가 중요한 인물인 왕이 돌아가기전에
 

미리 자연현상적인 기이한 징조들이 나타남을 예고하는데,어떠한 징조들이 나타나고,


왕의 죽음을 미리 알려주는 베스트 1위에 해당하는 기괴한 자연현상은 무엇이었는지에 대한 글이다.

왕이 죽음에 앞서 일반적으로 나타났던 현상들중에 대표적인 것들이 다음과 같았다



"궁궐이 있는 성문의 문짝이 부셔진다.궁궐안에있는 우물안속에서부터 구름이나 안개같은 현상속에 용같은 괴물체가 튀어나와 사라진다,궁궐이 있는 산위에서 개가 사흘 밤낮으로 운다.염전이있는 소금창고에서 소울음 소리가 들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궁궐를 지키는 성문의 문짝이 무너지거나 부서지는 일이 발생하는것은,역사서에서 아주 불길한 징조를 의미하는데,일반적인 개인들의 사생활에서도 실제로 자연현상에 의하여 집에 문짝이 날아거나,꿈속에서 집의 대문이나 방문이 부서지는 꿈은 집안에 중요한 인물이 하늘나라로 올라가게됨을 의미하는 흉조인 꿈에 해당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궁궐의 우물안에서 구름과 안개속에 용같은 괴물이 홀연히 나와서 사라진다,이런경우 왕이 하늘나라로 올라가기전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기록되어졌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궁궐을 둘러싼 산위에서 개가 사흘밤낮으로 우는 소리가 들린다.이런 경우 일반 개인들의 사생활에서도,개가 밤에 우는 현상은(개가 우는것과 짓는것은 그 소리가 다르다) 민간에서도 길조가 아니라 집안에 우환이 생기는 흉조로 여겨졌기에,밤에 우는개는 집안에서 기르지 말아야한다고 선조들의 경험의 산물로 내려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염전이있는 소금을 모아두는 창고안에 소가 없는데 소금창고에서 소울음소리가 들린다.이런경우 소금이 모여져있는 창고안에서 소의 울음소리가 나오면 왜 흉조라고 여겨졌는지는 요즘의 일반사회생활에서 흔히 볼수없는 모습이기에 알수는 없으나,미루어 짐작해보면 일상생활에 안좋은 일이나,재수없는 사람이 다녀가면  "에이,소금뿌려라"하는것처럼,소금과 소울음이소리가 결합되는 소리는,액운과 곡소리를 의미하지않나 생각할수가있다.

어찌되었든 대표적인 현상중에,삼국사기에 기록된 왕의 죽음을 예고하는 베스트 자연현상 1위는 궁궐의 성문이나 문짝이 무너지거나 부서지는 현상이었다.

우리나라에는 왕조체제가 없기에,이러한 현상으로 알수있는 왕의 죽음은없다고 생각했는데,가만히 생각해보니,족벌왕조체제가 아직 존재하는 미수복된지역이 아직 존재하기에,역사기록대로라면 자연현상으로 평양의 성문이나 문짝이 무너져내렸다는 언론기사가 나온다면,조만간에 생명운이 다한 인간이 소식이 들려오겠구나라고 생각해볼수가 있겠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푸른바다 저너머에 무엇이있을까,무엇이있는지가아니라,무엇이있을까가 행복하다.


모든것을 다알게된상태에서는 아무것두없다.
말구유,무엇을,누구를위한것이아니라,무엇이 담겨져있는지가 중요하다.



그러고보면 백지위에 많은것을 써놓았지만,가장기본적인 경험과진리를 잊구있었다.가장낮은곳에서
바라보던 별이 가장높구 선명하게보였다는거.......




"바람이 서늘도하여,뜰앞에 나섰더니,서산머리에 하늘은 구름을 벗어나고,산뜻한 초사흘달이 별함께 나오더라,달은 넘어가고,별만 서로반짝인다.저 별은 뉘별이며,내별또한 어느게요,잠자코 홀로서서 별을헤어보노라"
-이병기-별-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