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궁에는 궁녀처럼 벼슬인 품계를 받는 신분도 있었지만,궁궐을 드나들며,대비전,동궁전등에서 궁녀들이 담당하지않는 허드렛일을하는 노비신분의 천인들인 파지와 무수리가 있었다.


파지는 사내아이를 말하고,무수리는 소녀아이를 말했는데,이들의 신분은 천민이었다.


천출이기에 양인신분을 얻기도 쉽지않았는데,중전의 낳은 아이에게 젓을 먹이는 유모들의 신분또한 일반인들이 생각하기에는 특별대우를 받는 신분이 아니었을까 생각할지 모르지만 천민이었다.



간혹,아이를 잘 키워준 유모역할의 공으로,노비의 신분을 벗어나 양인의 신분을 얻는 경우도있긴 했지만 특별한 경우일뿐이었다.파지나 무수리들은 궁녀들보다 신분상으로 낮은 천민이었지만,궁녀들에게 메인 숙명적 한계인 오로지 왕이외의 남자는 업다라는 속박은 없었다.

궁녀들중에서 병이들어,간혹 궁궐을 나가서 사는 경우도 있었는데,이런경우도 죽을때까지 궁녀였던 굴레는 벗어날수가 없었다.궁녀의 신분이었다가,궁궐밖에 나가서 일반인으로 살아갈때,이들을 아내로 맞아드리려는 "간큰남자"도 드물었지만,있었다해도,그결과는 비극적이었는데,역사속에서 궁녀를 자신의 아내나첩으로 삼았던 "간큰남자"는 있었을까? 있었다.그러나 그 결과는 비참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때는 광해군이 집권하던 시대인 1613년,궁녀중 영생이라는 여자가 병이들어,궁궐밖으로 나가서 살게되었는데 광해군의 옹립에 공을 세운 정인홍의 일파중에 임혁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신분질서가 하늘의 뜻이고,진리처럼,공자왈,맹자왈했던 시대에 왕의 여자였던 궁녀를 자신의 아내나 첩으로 맞아드리는것은 간이 배밖에 나오지 않고는 실행할수없는 일이었다,

간큰남자 임혁과 영생은,서로 사랑에 빠지게 되었는데 영생왈:아무리 제가 병때문에 궁밖에 나와서 살게되었다해도,궁녀였는데,궁에 알려지면 나리에게 피해가 있을것인데 저를 버리시옵소서 임혁왈:영생아,사랑에 국경이 어디에 있겠느냐,너가 비록 궁녀였다고는해도,현재는 아니지않느냐,그리고 우리가문이 명문가인데,너하나 못지켜주겠느냐,내가 목숨을 잃을지언정,너를 버리지 않겠다.

이둘이 서로같이 살고있다는 소식이 급기야,궁궐에까지 들어가게되었는데,신하들이 들고일어나 임혁은 쳐줄일놈이고,위아래도없는 금수만도못한 강상의죄를 지었으니,참수형으로 다스려야한다고 연일 광해군에 상소를 하게된다.

광해군이 생각하기에,임혁의 잘못은 있으나,임금에대한 역신으로 참수형으로 처단하면,임혁뿐만아니라,가문자체가 멸문지화가 되기에,자신의 측근공신인 정인홍의 일파였던 임혁의 가문만은 살려주고자,사약을 내려 죽이는 형벌로 마무리하려고 하였다.

왕조시대에는 같은죽음일지라도,어떤형으로 죽느냐에따라 죄를 진 본인에게만 화가 미치기도하고,일가친족모두가 연좌로 걸려 효수가되기도했기에,tv속에서 임금이 신하에게 사약을 내렸는데 신하가 사약을 마시며,임금의 성은에 감사합니다라고 임금이 사는 궁궐을 향하여 절을하고 죽는 모습을 볼수있는데,이게 다 이유가 있는것이다.

부모,형제,자식등을 묶어서 목숨을 댕강시키지않겠다는 표시였기에,죽는 신하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억울하게 죽게되었든,그렇지 않던간에,부모,형제,자식의 장래와 목숨의 안전은 보장해주겠다는것이기에 감사할수도 있는것이다.우리나라에서 사약을 내리는것이 선처였다면,이웃나라 일본에서는 할복이였다고 볼수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찌되었은 연일 신하들의 상소에 항복한 광해군은 임혁을 참수형에 처하게되는데,같은날 영생도 죽음을 맞이하게되었지만,영생에게는 사약을 내렸다.같은장소에서 같은날,같은시각에 두사람은 동시에 죽음을 맞이하게되는데,마지막으로 할 말이 없느냐고 묻자,임혁왈:사랑이 죄라면,떳떳이 죽겠다.영생왈:우린 세상에 어울리지 않는 사랑인가봐요,마지막 죽는순간까지 눈물맺힌 눈으로 서로를 바라보며,무언가를 기원하듯 미소와 눈물을 머금은 얼굴로 죽었는데.주위에 이모습을 구경하던 사람들이 궤이하게 생각하며 말하길 "세상에 어울리지 않는 사랑"이구나 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정을 넘어가는 으쓱한 저녁무렵 흰옷을 입은여자가 주위의 눈치를 살피며 어두운산길을 따라 올라갔다.깊은밤에 여자가 홀로 산을 오르는걸보구 뒤를 몰래따라가보니공동묘지근처에서 무엇인가 손에들구 먹구있었는데.......

우리나라이 대표적인 전설에나오는 사람의 간을빼어먹는 불여우이야기이다.천년묵은 불여우가 관점이아니라,간이라는것에 궁금증이 생겼다.

사자나,들개,늑대등의 서열을가지는 동물들은,먹이감을 잡으면,집단의우두머리가 동물의 간을먹는다.만약에 자신이 먼저잡았다구,홀라당 암사자나 서열낮은


늑대가 동물의 간을 먼저빼서먹어버리면,나중에 먹이를 먹으러온 우두머리가 간이
없어진걸알게되면,간을 먼저 빼먹은구성원은 무리에서 쪼겨내던지 죽인다는것이다.
야생동물들에있어서는 먹이먹는순서가 곧 서열이기때문이다.

"벼룩의 간을 빼먹어라"라는 속담을 보듯이,간이라는 부위는 신체부위중에 제일
핵심영양가를 가지구있음이 미물인 벼룩에게도 적용되어짐을 알수가있다.

간의 가지는 기능은,알코올을 분해시켜주고,각종 독에 관련된것을 해독시켜주며
모든 사람에게 필요한 영양소와,면역기능요소들을 만들어내는 신체부위의 나쁜모든것을
정화시키는 해독기능을가진 집합체임을 알수가있다.

전설의 고향에 나오는 불여우만이 간을 유달리 좋아해서 뽑아 먹었던게아니라,간은 모든육식동물들이
좋아하구 제일먼저 찾아서 먹는 부위라는것이다.그러므로 불여우하면 간을빼먹는다라는 트레드마크는
애시당초 모든동물들의 특성에 해당되는것이므로,호랑이두,사람의 간을 젤먼저 빼먹을것이구
사자,늑대 모든동물은,해독기능을 가진 간의특성상,본능적으로 제일먼저 빼내서먹는것이므로
천년묵은 불여우의 상징성으로 볼수없다는것이다.

심지어 바다에사는 동물인 범고래조차두,어류인 상어를 잡아죽이구는 다른부위는 버려버리구,상어
간을
 끄집어먹는다는것이다.

사람의 간조직은 일부를 절개하여,다른사람에게 이식해사용할수있다,이러한 일부의 간을 잘라내어
다름사람에게 이식해주는것은,잘라내어두 자체재생능력을 가지는 간의 신비한능력을 가지구있기때문이다.

만약에 원시시대에 살았던 우리들의 선조인 원시인들은,동물을 잡으면,다른동물들처럼,젤먼저
동물의 간을빼먹었다구 볼수있다.가장 신선하구,독이없는 부위인 간을 빼먹던 무의식이,현실에서는
잊혀지구 전설로서 인간이 되려는 불여우라는 대상에 투영되었다구 볼수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