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양반다리,무릎꿇기,서있기의 관점에서 나타난 동양 삼국의 차이점에 대하여

 

 

양반다리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방안이나 실내에서 양반다리로 앉아 이야기를 나누는 자세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양반다리는 불교의 선자세의 일종으로 이러한 자세로 앉아있으면 다양한 생각을 머릿속에서 하기에 피곤하지 않는 스타일이다.

무릎 꿇기

일본은 전통적으로 실내에서 무릎 꿇기로 대화를 하는 자세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자세는 머릿속에서 여러 가지 생각을 하기에는 불편하기에 한 가지 생각이나 의지로 가능한 자세이다.

서있기

중국은 전통적으로 실내에서도 의자에 앉아있거나 서있는 자세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자세는 대기하는 상태로 무엇을 생각하는 것이 아닌 기다리는 자세의 스타일이다.

 

 

한국인의 양반다리를 통하여보면 다양한 생각을 할 수가 있는데, 이것은 생각의 융통성과변화에는 좋기에 국제적인 글로벌화 환경에 있어서 좋은 인재들이 태어날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있다.이러한 장점에 비하여 단점은 체계적이거나 일률적인 지시나 시스템으로 돌아가는 조직에 있어서는 비능률성을 보여주며 쉽게 자신의 의지나 생각을 팔아먹어도 변명에 익숙해질 수가 있다.

 

 

일본인의 무릎꿇기를 통하여 보면 하나의 의지나 생각을 표현하기에 알맞은 자세이므로 이러한 민족성은 개개인의 일률적인 의지나 일념을 끝까지 지켜나가기에 체계적이거나 일률적인 시스템에서는 좋은 능률성을 보여주기에, 같은 생각, 같은 의지를 가지는 사람들을 선택하여 나아가는 장점이 있지만, 융통성이나 변화에 있어 의지나 일념을 포기함으로 변화가 빠르지 않고 전통적인 요소가 계속하여 부가되어질 수밖에 없다.

 

중국인의 서있기를 통하여 보면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내리는 지시나 생각을 받들어 행할 뿐 서있는 사람이 자신의 생각이나 융통성의 여지를 갖지 못하도록 하기에 계급적 신분질서나 약육강식의 모델 하에서 잘 적응하고 장점을 발휘하는데 단점은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말하는 게 아니라 자신의 윗사람의 행동양식을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으로 따라 말하므로 지시받고 행동하는 시스템에서는 좋으나, 스스로의 의견이나 주장을 펼쳐야하는 행태에는 불필요한 인간군이 된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kungm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