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옛 말에 돼지 눈에는 돼지가 보인다고 하였는데 사도세자가 그러했으니 그의 행실과 성품이 개새끼였기에 조선왕족중에 유일하게 개새끼그림을 그리길 좋아해 작품이라고 후세에 남겨놓은 인물이다. 오늘날의 기준에서도 왜 이 개새끼인 사도세자가 죽어 마땅한지 잘알려져 있지 않아 드라마등을 통하여 미화되는 경우가 있는 것 같아 적어 놓으려고한다.

 

 

 

 

사도세자는 절대권력자인 후계자였기에 왕조국가에서 아랫사람들을 죽인 것에대한 책임에서는 그리 큰흠은 아니었다.그러나 죽임에는 나름이 명분이 있어야 하는데 이 개새끼에게 죽임을 당한 무수한 사람들은 단지 옷이 좀 이상합니다라든지 같은 사소한 말에도 네까짓 게 뭔데 나에게 지적 질이라며 분기탱천하여 그 자리에서 즉시 모가지를 댕강 댕강 시켰다는 것이다.

 

사도세자가 왜 뒤주속에서 9일을 굶어서 죽는 형벌을 당했을가 거슬러 올라가보면 사도세자가 개새끼였기 때문이 그 근원임을 알수가 있다. 사도세자의 배다른 여자형제가 있었는데 사도세자보다 나이는 15살이 위였기에 누나뻘보다 이모뻘에 가까울정도의 나이차였고 이복누나인 이분이 13살에 시집을 갔는데 남편되는분도 13살이었다.

 

이 두분은 오늘날에서 보면 초등생나이에 만나 알콩달콩 자식도없이 서로만을 의지하여 살아갔는데 이복누나가 38세인 어느날 23세인 사도세자가 38살인 매형을 만나 시와 개새끼 그림을 그리며 풍월을 읖조리던중에 매형이 태도가 마음에 안드다고 먹물인 담긴 벼루를 잡아 대가리를 쳐서 죽여버렸는데, 영조의 딸이면서 사도세자에겐 이복누나였던 화순옹주는 38살이 되도록 아이가 안생겨서 오로지 남편만을 의지하며살다가 하루아침에 별거도 아닌 일에 남편이 죽임을 당하자

 

그 억울함을 아버지인 영조에게 아무리 호소해도 영조의 말은 아무리 개새끼같은 짓을 했어도 사위보다야 형제가 우선이 아니겠느냐 너가 인내하라였다. 왕조시대였기에 여자로서 항거할 방법은 소심하게 보름동안을 곡기를 끊고 굶어죽어버렸는데 영조는 이때에도 그래도 딸보다는 아들이라는 생각으로 사도세자에게 제발 정신차리라고 인내한게 그러한 일이있고 4년을 더 기다려 줬지만,

 

자신의 딸인 화순옹주가 굶어죽는 것을 본 영조의 인내기간인 4년동안에 오히려 100여명 더 넘는 사람의 목가지를 댕강시키는 것도 모자라 자신의 아들을 낳은 후궁을 때려죽였을뿐만 아니라 잘린 머리를 들고 자신의 아내인 혜경궁 홍씨에게도 자랑을 하는 지경에 이르렀는데

 

사도세자의 친어머니와 사도세자를 양자로 입적한 영조의 정비조차도 그 개새끼를 살려 후계자로 물려주면 결단코 나라가 망조가 들것이라는 강력한 호소에 그래도 아들인데라는 마음에 영조의 고민은 깊어갔고

 

 

 

여름날 홀로 달빛을 멍하니 보며 며칠간 고민에 고민을 하던 영조가 신하들에게 말하길 내가 아니면, 내가 아니면 과연 누가 저 개새끼를 처리할 수가 있을것인가? 개새끼를 개새끼라고 말하지 않고 나에게 개새끼의 비리를 아랜사람을 무고라고 참수시켜 모른척한 신하들이 모두 역적이다.” 일갈하고는

 

저 개새끼의 합당한 형벌은 인과응보로 자신의 딸인 화순옹주가 굶어죽는 상황에서도 모른척한 것에 대한 회한과 뉘우침에 기인하여 결단에 이르게되어 그 즉시 실행하게하여 결국 사도세자가 굶어 죽게 된다. 사도세자의 아들인 정조가 영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며 나는 사도세자의 아들이다라고 했지만 동시에

 

화순옹주에게 열녀문을 내려 할아버지인 영조가 사위나 딸보다는 그래도 아들이 먼저이지라는 생각으로 자신의 말을 듣지 않고 굶어죽은 딸에게 내려주길 거부한 것을 바로잡아 조선왕족의 여자중에 유일하게 열녀가 되게한것도 정조였음을 보면 정조의 스타일은 좌우에 치우지지 않는 있는 그대로 보고 평가하고 실행하려던 실사구시의 실용성을 갖춘 왕의 자질을 가지고 있음을 알수가 있고

 

열녀문을 받은 화순옹주의 양자로 입적한 사람의 후손에서 지조와 절개를 상징하는 세한도를 그린 추사 김정희가 나온 것을 보면 세한도에 들어있는 것은 불의에 항거하여 굶어 죽을지라도 자신의 소신을 나타내 보이는 절개와 지조의 상징인 열녀라 생각한다.

 

 

728x90
반응형
Posted by kungmi
,